이슈와 쟁점
스킵 네비게이션
본문으로 바로가기
제9호
2024.04.30.
지난호 보기
제9호(2024. 04)
제8호(2023. 04)
제7호(2022. 08)
제6호(2022. 02)
제5호(2021. 08)
제4호(2021. 02)
제3호(2020. 08)
제2호(2020. 02)
제1호(2019. 08)
웹진 ‘공생공락’ 신청
이름
이메일
개인정보의 수집 및 활용에 동의.
1.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 웹진 ‘공생공락’ 전송
2. 수집하려는 개인정보의 항목
- 필수 : 이름, 이메일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름, 이메일 : 1년.
(1년마다 제공동의여부 재확인)
4. 위의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이에 동의하지 않을 시 웹진 ‘공생공락’ 신청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신청하기
취소
본문 내용
현재위치
전체
>
자유기고
>
공동체문화와 여성
최근 가장 많이 본 기사
하위메뉴
본문 내용
제3호
사치스러운 여성들의 반란
73세 유튜브 크리에이터로 유명한 ‘박막례 할머니’가 있다. ‘박막례 할머니’의 생활을 담아낸 이 유튜브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던 것 중 하나는 ‘계모임’이다. “한 날에 한 번쓱 만나가지고, 밥도 먹고, 한 달 동안 어쭈...
제1호
여성의 호칭과 공동체문화
우리는 살아가면서 이름이 아닌 수많은 호칭들로 불리곤 한다. ‘나’는 때에 따라서 선생님’이 되기도, ‘언니’가 되기도, ‘이모’가 되기도 한다. 이처럼 호칭은 단순히 이름 대신 부르는 지칭어가 아니라, 그 사람의 위치,...
1
푸터메뉴
기관동정
민속학연구소 홈페이지
저작권표시, 주소 및 연락처
주소 : 36729 경북 안동시 경동로 1375 (송천동) 국립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 TEL. 054-820-6817 / FAX. 054-820-7604
Copyright
(
c
)
공생공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