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와 쟁점

  • 제9호 2024.04.30.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웹진 공생공락
지난호 보기
전체 > 이슈와 논단 > 사회혁신의 담론들

최근 가장 많이 본 기사

  • 제3호
  • 공동체 문화와 지역 혁신
  • 공동체 문화 오늘날 우리는 공동체라는 말을 쉽게 듣고 쓰고 있다. 그러나 사실 이 말은 그렇게 오래 된 말이 아니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공동체(共同體)라는 말은 한번도 나오지 않는다. 조선에서는 사용되지 않던 말인 것이다. ‘공동’(共同)이라는 말은 어떨까?...
  • 제3호
  • 지역혁신, 현장의 고민과 메시지
  • 혁신, 지역혁신의 의미 혁신(革新, innovation)의 사전적 의미는 ‘가죽을 벗겨 새롭게 한다’는 뜻으로 ‘혁신을 위해서는 (가죽을 벗기는 것과 같은) 많은 아픔과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혁신’이 그만큼...
  • 제3호
  • 협력과 정책 실험, 사회 혁신 성공의 열쇠
  • 코로나19 사태가 터진 뒤 우리나라의 성공적 방역 모델이 세계의 주목을 끌었다. 이 가운데서도 세계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드라이브 스루(Drive Through)’ 방식의 검사 체계는 우리나라 전역은 물론 미국과 유럽 등 세계 여러 나라로 퍼져나갔다. 잠재적 감염자가 차에서...
  • 제3호
  • 사회혁신 담론과 공동체문화의 새로운 위상 설정
  • 2010년대 이후 한국에서 사회혁신 담론이 확산되어온 상황은 여러 논문을 통해 이미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그러한 논문을 쓰는 연구자들이 그러한 담론을 확산시키는 또 하나의 주체라는 점은 말할 것도 없다. 논문들을 보면 연구자 자신의 집필 의의를 정당화하기 위해서라도 ‘사회혁신&rsq...
  • 제3호
  • 현대 이주민 공동체와 사회혁신, 우리에게 던지는 과제
  • 리처드 세넷은 1970년대 뉴욕 이민사회의 혁신적 모델로 한국인을 예로 든다. 한국인들은 전통적인 이민자 거주 지역을 벗어나 상점을 차렸고, 일주일에 7일, 24시간 내내 영업을 하면서 틈새 시장을 개척했다. 한국인들은 사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 자체적인 계를 조직했다. 사업이 잘 되면 이윤 ...
  • 제3호
  • 사회혁신의 주체와 공동체의 동력
  • 지난 1년 동안 공동체문화연구사업단에서는 2차년도 연구주제인 사회혁신 의제를 떠올리면서 공동체문화 연구에서 사회혁신 담론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논의를 지속적으로 해 왔다. 사회혁신 담론에 관한 연구자별 논의의 관점과 대상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주제에 대한 논의는 여러...
1